R/Contents
-
[R] working directory(워킹디렉터리) 설정하기R/Contents 2020. 3. 13. 04:56
working directory(워킹 디렉터리) 설정하는 법을 살펴보고자 한다. 워킹디렉터리(working directory)란 작업공간을 의미한다. 예를 들면, 불러올 파일들을 모아 놓은 곳, 혹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장소 등을 위함이다. 워킹디렉터리를 잘 활용하면 파일을 불러오거나 파일을 저장할 때마다 위치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. R을 실행하고 나서 getwd()를 입력하면 현재 워킹디렉터리가 어디인지 알 수 있다. 만약 워킹디렉터리를 새롭게 만들고 싶다면 setwd("위치정보")를 입력해주면 된다. 예, setwd("C:/documents/") 혹은 RGui 창에서도 변경해줄 수 있다. R console을 클릭해서 선택한 후, RGui창에 있는 File을 클릭하고 Change d..
-
R 커서 변경하기R/Contents 2020. 3. 13. 00:03
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R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R Gui 창이 생성되고 > (커서)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.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> 커서와 '크다'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> 등호 표시가 헷갈리지는 경우는 드물다. 혹시라도 모를 경우에 대비하여 커서 모양을 변경하는 법을 살펴보고자 한다. options(prompt="R> ") options(prompt="Code: ") "R> " 대신에 "Code: " 를 사용해보았다. 즉, 기본 형식은 options(prompt=" ")이고 " "안에 사용하고 싶은 것을 입력해주면 된다. 참고로, R Editor를 실행시키고 싶다면 RGuid 창에서 File → New Script 를 클릭해주면 된다. 만약 R Editor을 이용할 경우,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에 ..
-
R에서 [반복문]을 활용하여 케이스 추출 후 개별 .csv 파일로 저장하기R/Contents 2020. 3. 12. 01:54
- situation - 졸업율이 들어있는 파일에서 각각의 학교구 ID를 기준으로 파일을 추출하고(총48개의 학교구가 있음), 그 추출된 각각의 파일을 .csv 파일로 저장하되 특정 파일명이 포함되도록 저장했으면 좋겠다는 디렉터의 요청이 있었습니다. - methods - 1. 각각의 학교구ID를 선택한 후 저장하기 패키지를 설치 한 후, filter 명령어를 활용하여 48개의 학교구별로 파일을 추출하고 이것을 다시 각각의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 setwd("C:/Users/work/") #워킹디렉터리 설정하기 install.packages("dplyr") #dplyr 패키지 설치하기 install.packages("readr") #readr 패키지 설치하기 library(dplyr) #dplyr 패..